擇日 |
||||||||||||||||||||||||||||||||||||||||||||||||||||||||||||||||||||||||||||||||||||||||||||||||||||||||||||||||||||||||||||||||||||||||||||||||||||||||||||||||||||||||||||||||||||||||||||||||||||||||||||||||||||||||||||||||||||||||||||||||||||||||||||||||||||||||||||||||||||||||||||||||||||||||||||||||||||||||||||||||||||||
여러가지 택일법(擇日法)과 활용방법(運用方法) 등을 살펴 본다. |
||||||||||||||||||||||||||||||||||||||||||||||||||||||||||||||||||||||||||||||||||||||||||||||||||||||||||||||||||||||||||||||||||||||||||||||||||||||||||||||||||||||||||||||||||||||||||||||||||||||||||||||||||||||||||||||||||||||||||||||||||||||||||||||||||||||||||||||||||||||||||||||||||||||||||||||||||||||||||||||||||||||
↑ 택일 /
연길문서.(요즘은 택일단자
대신 구두(口頭)로 전하는 경우가 많다.) |
||||||||||||||||||||||||||||||||||||||||||||||||||||||||||||||||||||||||||||||||||||||||||||||||||||||||||||||||||||||||||||||||||||||||||||||||||||||||||||||||||||||||||||||||||||||||||||||||||||||||||||||||||||||||||||||||||||||||||||||||||||||||||||||||||||||||||||||||||||||||||||||||||||||||||||||||||||||||||||||||||||||
- 택일 [擇日] - 사전에서의 설명 정의 내용 |
||||||||||||||||||||||||||||||||||||||||||||||||||||||||||||||||||||||||||||||||||||||||||||||||||||||||||||||||||||||||||||||||||||||||||||||||||||||||||||||||||||||||||||||||||||||||||||||||||||||||||||||||||||||||||||||||||||||||||||||||||||||||||||||||||||||||||||||||||||||||||||||||||||||||||||||||||||||||||||||||||||||
- 택일방법 택일방법은 오행을 아는 사람에게 부탁하여 신랑·신부의 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서 ‘살’을 제하고 좋은 날을 택한다.
참고문헌
韓國民俗學槪論(李杜鉉·張籌根·李光奎, 普成文化社, 1979)한국의 민속(김성배, 집문당, 1980) |
||||||||||||||||||||||||||||||||||||||||||||||||||||||||||||||||||||||||||||||||||||||||||||||||||||||||||||||||||||||||||||||||||||||||||||||||||||||||||||||||||||||||||||||||||||||||||||||||||||||||||||||||||||||||||||||||||||||||||||||||||||||||||||||||||||||||||||||||||||||||||||||||||||||||||||||||||||||||||||||||||||||
- 택일의 실전스킬 택일(擇日)의 의의. @택일(擇日)의 방법론. @택일(擇日)3가지 중요법.
이사(일자및 방위),결혼,출산,수술,고사,사업장의
개업일,이장,장례택일 등이 있으며 , *생기복덕법:생기,천의,절체,유혼,화해,복덕,일은 택하고,화해(禍害),절명(絶命)
일진은
피(避)합니다.
(1).생기복덕법(生氣福德法):당해년 나이로 기준으로 화해,절명
일진은 피합니다.
|
||||||||||||||||||||||||||||||||||||||||||||||||||||||||||||||||||||||||||||||||||||||||||||||||||||||||||||||||||||||||||||||||||||||||||||||||||||||||||||||||||||||||||||||||||||||||||||||||||||||||||||||||||||||||||||||||||||||||||||||||||||||||||||||||||||||||||||||||||||||||||||||||||||||||||||||||||||||||||||||||||||||
[생기복덕일 조견표] 생기복덕의 해설 ① 生氣(생기) : 경영하는 바 길(吉)하고
福祿(복록)을 누리며 매사 자신감이 넘친다. ※ 大吉日(대길일) → 生氣(생기)
福德(복덕) 天宜(천의) |
||||||||||||||||||||||||||||||||||||||||||||||||||||||||||||||||||||||||||||||||||||||||||||||||||||||||||||||||||||||||||||||||||||||||||||||||||||||||||||||||||||||||||||||||||||||||||||||||||||||||||||||||||||||||||||||||||||||||||||||||||||||||||||||||||||||||||||||||||||||||||||||||||||||||||||||||||||||||||||||||||||||
- 오합일(五合日) ①갑인일ㆍ을묘일(甲寅,
乙卯)
; 일월합(日月合),
해와 달이 합한 날이다. |
||||||||||||||||||||||||||||||||||||||||||||||||||||||||||||||||||||||||||||||||||||||||||||||||||||||||||||||||||||||||||||||||||||||||||||||||||||||||||||||||||||||||||||||||||||||||||||||||||||||||||||||||||||||||||||||||||||||||||||||||||||||||||||||||||||||||||||||||||||||||||||||||||||||||||||||||||||||||||||||||||||||
- 三煞方(삼살방)과 大將軍方(대장군방) - 이사를 할 때 민간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보는
것이 三煞方(삼살방)과 大將軍方(대장군방) 그러니 만약 남쪽으로 이사를 가려 한다면
음력 3일, 13일, 23일만 피하면 되는 것인데
명리학에서 1,6 水(수). 2,7 火(화). 3,8 木(목). 4,9 金(금). 5,10
土(토)라고 하도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데
自住屋一百二十步外(자주옥일백이십보외) 不問方所任意移徙吉(불문방소임의이사길) - 자신이 살고 있는
가옥에서 120보 이상 떨어진 곳은, 방위를 불문하고 임의대로 이사해도 이하 설명은 참조하시고 用神(용신)과 喜忌(희기)를 가리어 방위와 날짜를 택일함이 옳다..
太白殺(태백살) 일자에 따라 그 방향에 있는 살(殺)을
말한다. 택백살이 있는 방향으로 이사(移徙)를 하거나 1일, 11일, 21일
: 東方(동방) 대장군방이란? 년도 대장군방 ② 대장군방에 해당되는 방향에는 수리나 증축하지 말아야 한다. ④ 만약 어쩔 수 없이 변화 변동시에는 이삿집차나 상여를 대장군방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 삼살방이란?
三殺(삼살)의 이론은 三合(삼합)에 근거를 두고 三合(삼합)의 旺支(왕지)를 -. 삼대(三代)가 모여 사는 집
|
||||||||||||||||||||||||||||||||||||||||||||||||||||||||||||||||||||||||||||||||||||||||||||||||||||||||||||||||||||||||||||||||||||||||||||||||||||||||||||||||||||||||||||||||||||||||||||||||||||||||||||||||||||||||||||||||||||||||||||||||||||||||||||||||||||||||||||||||||||||||||||||||||||||||||||||||||||||||||||||||||||||
◎ 方所法의 吉凶禍福 (방소법의 길흉화복) 一天祿(일천록) :
天祿進祿獲財(천록진록획재) - 官祿(관록)과 財産(재산)을 얻는다. |
||||||||||||||||||||||||||||||||||||||||||||||||||||||||||||||||||||||||||||||||||||||||||||||||||||||||||||||||||||||||||||||||||||||||||||||||||||||||||||||||||||||||||||||||||||||||||||||||||||||||||||||||||||||||||||||||||||||||||||||||||||||||||||||||||||||||||||||||||||||||||||||||||||||||||||||||||||||||||||||||||||||
가취월 ?
|
||||||||||||||||||||||||||||||||||||||||||||||||||||||||||||||||||||||||||||||||||||||||||||||||||||||||||||||||||||||||||||||||||||||||||||||||||||||||||||||||||||||||||||||||||||||||||||||||||||||||||||||||||||||||||||||||||||||||||||||||||||||||||||||||||||||||||||||||||||||||||||||||||||||||||||||||||||||||||||||||||||||
- 합혼개폐법 합혼개폐법은 여자를 기준으로 택일하는 방법이다. 보는법은 말띠생 여자이면 17.20.23.29.32살에 혼 인하면 길하고 반대로 18.21.24.27.30.33살에 혼인하면 흉하며 그외는 반길반 흉하게된다
(3).혼인흉년 혼인에 부적당한 년도를 말한다. ◈여자에게서 혼인에 불리한 흉년 ◈ 자(子)년생 -- 卯년. 축(丑)년생 -- 寅년. 인(寅)년생 -- 丑년
◈남자에게서 혼인에 불리한 흉년 ◈ 자(子)년생 -- 未년. 축(丑)년생 -- 申년. 인(寅)년생 -- 酉년
|
||||||||||||||||||||||||||||||||||||||||||||||||||||||||||||||||||||||||||||||||||||||||||||||||||||||||||||||||||||||||||||||||||||||||||||||||||||||||||||||||||||||||||||||||||||||||||||||||||||||||||||||||||||||||||||||||||||||||||||||||||||||||||||||||||||||||||||||||||||||||||||||||||||||||||||||||||||||||||||||||||||||
- 자백(紫白) 택일법
<년자백(年紫白)>
1. 上元(1864년부터 1923년까지) 九宮圖의
1白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太歲의 中宮數를 구한 후, (上元 年紫白 中宮數) 坎宮(1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離宮(9紫):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艮宮(8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兌宮(7赤):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乾宮(6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中宮(5黃):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巽宮(4綠):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震宮(3碧):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坤宮(2黑):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상원 1923년의 年紫白圖 1923년은
癸亥년으로 위에서 중궁수가 5黃이다. 5黃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上元 癸亥年의 年紫白圖) 중궁:5黃, 건궁:6白, 태궁:7赤, 간궁:8白, 이궁:9紫, 감궁:1白, 곤궁:2黑, 진궁:3碧, 손궁:4綠 2. 中元(1924년부터 1983년까지) 九宮圖의
4綠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太歲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태세의 중궁수를 (中元 年紫白 中宮數) 巽宮(4綠):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震宮(3碧):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坤宮(2黑):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坎宮(1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離宮(9紫):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艮宮(8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兌宮(7赤):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乾宮(6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中宮(5黃):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中元 1980년의 年紫白圖 1980년은
庚申년으로 위의 표에서 중궁수가 2黑이다. 2黑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中元 庚申年의 年紫白圖) 중궁:2黑, 건궁:3碧, 태궁:4綠, 간궁:5黃, 이궁:6白, 감궁:7赤, 곤궁:8白, 진궁:9紫, 손궁:1白 3. 下元(1984년부터 2023년까지) 九宮圖의
7赤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각 太歲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태세의 중궁수를 (下元 年紫白 中宮數) 兌宮(7赤):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乾宮(6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中宮(5黃):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巽宮(4綠):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震宮(3碧):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坤宮(2黑):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坎宮(1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離宮(9紫):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艮宮(8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下元 2006년의 年紫白圖 2006년은
丙戌년으로 위의 표에서 중궁수가 3碧이다. 3碧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中元 庚申年의 年紫白圖) 중궁:3碧, 건궁:4綠, 태궁:5黃, 간궁:6白, 이궁:7赤, 감궁:8白, 곤궁:9紫, 진궁:1白, 손궁:2黑 <월자백(月紫白)>
1. 寅, 申, 巳, 亥년 九宮圖의
2黑에서 起1月하여 逆行으로 각 월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월의 중궁수를 (寅, 申, 巳, 亥년 月紫白 中宮數) 곤궁(2黑):1월,10월, 감궁(1白):2월,11월, 이궁(9紫):3월,12월, 간궁(8白):4월, 태궁(7赤):5월, 건궁(6白):6월, 중궁(5黃):7월, 손궁(4綠):8월, 진궁(3碧):9월 例) 2004年 3月 月紫白圖 2004년은
甲申년으로 3월의 중궁수는 9紫이다. 9紫를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甲申年 3월의 月紫白圖) 중궁:9紫, 건궁:1白, 태궁:2黑, 간궁:3碧, 이궁:4綠, 감궁:5黃, 곤궁:6白, 진궁:7赤, 손궁:8白 2. 子, 午, 卯, 酉년 九宮圖의
8白에서 起1月하여 逆行으로 각 월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월의 중궁수를 (子, 午, 卯, 酉년 月紫白 中宮數) 간궁(8白):1월,10월, 태궁(7赤):2월,11월 건궁(6白):3월,12월, 중궁(5黃):4월, 손궁(4綠):5월, 진궁(3碧):6월, 곤궁(2黑):7월, 감궁(1白):8월, 이궁(9紫):9월 例) 2005年 3月 月紫白圖 2005년은
乙酉년으로 3월의 중궁수는 6白이다. 6白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乙酉年 3월의 月紫白圖) 중궁:6白, 건궁:7赤, 태궁:8白, 간궁:9紫, 이궁:1白, 감궁:2黑, 곤궁:3碧, 진궁:4綠, 손궁:5黃 3.
辰, 戌, 丑, 未년: 九宮圖의 5黃에서 起1月하여 逆行으로 각 월의 中宮數를 구한 후 (辰, 戌, 丑, 未년 月紫白 中宮數) 중궁(5黃):1월,10월, 손궁(4綠):2월,11월, 진궁(3碧):3월,12월, 곤궁(2黑):4월, 감궁(1白):5월, 이궁(9紫):6월 간궁(8白):7월, 태궁(7赤):8월 건궁(6白):9월 例) 2006년 3월의 月紫白圖 2006년은
丙戌년으로 3월의 중궁수는 3碧이다. 3碧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丙戌年 3월의 月紫白圖) 중궁:3碧, 건궁:4綠, 태궁:5黃, 간궁:6白, 이궁:7赤, 감궁:8白, 곤궁:9紫, 진궁:1白, 손궁:2黑 <일자백(日紫白)>
1. 陽遁(冬至에서 夏至까지) 1)
冬至, 小寒, 大寒, 立春 4절기: 九宮圖의 1白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冬至, 小寒, 大寒, 立春 4절기 日紫白 中宮數) 坎宮(1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坤宮(2黑):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震宮(3碧):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巽宮(4綠):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中宮(5黃):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乾宮(6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兌宮(7赤):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艮宮(8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離宮(9紫):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冬至, 小寒, 大寒, 立春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甲申일은 중궁수가 3碧이다. 3碧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甲申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冬至, 小寒, 大寒, 立春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중궁:3碧, 건궁:4綠, 태궁:5黃, 간궁:6白, 이궁:7赤, 감궁:8白, 곤궁:9紫, 진궁:1白, 손궁:2黑 2)
雨水, 驚蟄, 春分, 淸明 4절기: 九宮圖의 7赤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雨水, 驚蟄, 春分, 淸明 4절기 日紫白 中宮數) 兌宮(7赤):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艮宮(8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離宮(9紫):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坎宮(1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坤宮(2黑):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震宮(3碧):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巽宮(4綠):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中宮(5黃):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乾宮(6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雨水, 驚蟄, 春分, 淸明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갑신일은 중궁수가 9紫이다. 9紫를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신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雨水, 驚蟄, 春分, 淸明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중궁:9紫, 건궁:1白, 태궁:2黑, 간궁:3碧, 이궁:4綠, 감궁:5黃, 곤궁:6白, 진궁:7赤, 손궁:8白 3) 穀雨, 立夏, 小滿, 芒種 4절기 九宮圖의 4綠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穀雨, 立夏, 小滿, 芒種 4절기 日紫白 中宮數) 巽宮(4綠):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中宮(5黃):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乾宮(6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兌宮(7赤):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艮宮(8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離宮(9紫):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坎宮(1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坤宮(2黑):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震宮(3碧):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穀雨, 立夏, 小滿, 芒種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갑신일은 중궁수가 6白이다. 6白을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신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穀雨, 立夏, 小滿, 芒種 4절기 甲申일의 日紫白圖) 중궁:6白, 건궁:7赤, 태궁:8白, 간궁:9紫, 이궁:1白, 감궁:2黑, 곤궁:3碧, 진궁:4綠, 손궁:5黃 2. 陰遁(夏至에서 冬至까지) 1) 夏至, 小暑, 大暑, 立秋 4절기 九宮圖의 9紫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夏至, 小暑, 大暑, 立秋 4절기 日紫白 中宮數) 離宮(9紫):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艮宮(8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兌宮(7赤):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乾宮(6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中宮(5黃):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巽宮(4綠):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震宮(3碧):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坤宮(2黑):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坎宮(1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夏至, 小暑, 大暑, 立秋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甲午일은 중궁수가 6白이다. 6白을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오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夏至, 小暑, 大暑, 立秋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중궁:6白, 손궁:7赤, 진궁:8白, 곤궁:9紫, 감궁:1白, 이궁:2黑, 간궁:3碧, 태궁:4綠, 건궁:5黃 2) 處暑, 白露, 秋分, 寒露 4절기 九宮圖의 3碧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處暑, 白露, 秋分, 寒露 4절기 日紫白 中宮數) 震宮(3碧):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坤宮(2黑):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坎宮(1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離宮(9紫):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艮宮(8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兌宮(7赤):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乾宮(6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中宮(5黃):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巽宮(4綠):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處暑, 白露, 秋分, 寒露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갑오일은 중궁수가 9紫이다. 9紫를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오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處暑, 白露, 秋分, 寒露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중궁:9紫, 손궁:1白, 진궁:2黑, 곤궁:3碧, 감궁:4綠, 이궁:5黃, 간궁:6白, 태궁:7赤, 건궁:8白 3) 霜降, 立冬, 小雪, 大雪 4절기 九宮圖의 6白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日辰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일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일자백도가 된다. (霜降, 立冬, 小雪, 大雪 4절기 日紫白 中宮數) 乾宮(6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中宮(5黃):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巽宮(4綠):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震宮(3碧):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坤宮(2黑):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坎宮(1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離宮(9紫):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艮宮(8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兌宮(7赤):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霜降, 立冬, 小雪, 大雪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위에서 갑오일은 중궁수가 3碧이다. 3碧을 중궁에 넣고 逆行하면 아래와 같은 갑오일의 일자백도가 된다. (霜降, 立冬, 小雪, 大雪 4절기 甲午일의 日紫白圖) 중궁:3碧, 손궁:4綠, 진궁:5黃, 곤궁:6白, 감궁:7赤, 이궁:8白, 간궁:9紫, 태궁:1白, 건궁:2黑 <시자백(時紫白)>
1. 陽遁(冬至에서 夏至까지) 1)
日辰이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묘, 경진, 신사, 임오, 九宮圖의 1白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坎宮(1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坤宮(2黑):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震宮(3碧):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巽宮(4綠):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中宮(5黃):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乾宮(6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兌宮(7赤):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艮宮(8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離宮(9紫):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陽遁 丙寅일 寅시의 時紫白圖 丙일의
時頭는 戊子이므로 寅시 간지는 庚寅이다. 위의 표에서 경인은 중궁수가 9紫이다. (陽遁 丙寅일 寅시의 時紫白圖) 중궁:9紫, 건궁:1白, 태궁:2黑, 간궁:3碧, 이궁:4綠, 감궁:5黃, 곤궁:6白, 진궁:7赤, 손궁:8白 2)
日辰이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해, 경자, 신축, 九宮圖의 7赤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兌宮(7赤):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艮宮(8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離宮(9紫):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坎宮(1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坤宮(2黑):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震宮(3碧):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巽宮(4綠):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中宮(5黃):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乾宮(6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陽遁 甲申일 卯시의 時紫白圖 甲일의
時頭는 甲子이므로 卯시 간지는 丁卯이다. 위의 표에서 정묘는 중궁수가 1白이다. (陽遁 甲申일 卯시의 時紫白圖) 중궁:1白, 건궁:2黑, 태궁:3碧, 간궁:4綠, 이궁:5黃, 감궁:6白, 곤궁:7赤, 진궁:8白, 손궁:9紫 3) 日辰이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일 九宮圖의 4綠에서 起甲子하여 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巽宮(4綠):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中宮(5黃):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乾宮(6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兌宮(7赤):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艮宮(8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離宮(9紫):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坎宮(1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坤宮(2黑):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震宮(3碧):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陽遁 戊寅일 丑시의 時紫白圖 戊일의
時頭는 壬子이므로 丑시 간지는 癸丑이다. 위의 표에서 계축은 중궁수가 8白이다. (陽遁 戊寅일 丑시의 時紫白圖) 중궁:8白, 건궁:9紫, 태궁:1白, 간궁:2黑, 이궁:3碧, 감궁:4綠, 곤궁:5黃, 진궁:6白, 손궁:7赤 2. 陰遁(夏至에서 冬至까지) 1)
日辰이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오, 을미, 九宮圖의 9紫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離宮(9紫):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艮宮(8白):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兌宮(7赤):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乾宮(6白):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中宮(5黃):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巽宮(4綠):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震宮(3碧):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坤宮(2黑):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坎宮(1白):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陰遁 戊辰일 丑시의 時紫白圖 戊일의
時頭는 壬子이므로 丑시 간지는 癸丑이다. 위의 표에서 계축은 중궁수가 5黃이다. (陰遁 戊辰일 丑시의 時紫白圖) 중궁:5黃, 손궁:6白, 진궁:7赤, 곤궁:8白, 감궁:9紫, 이궁:1白, 간궁:2黑, 태궁:3碧, 건궁:4綠 2)
日辰이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해, 경자, 九宮圖의 3碧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震宮(3碧):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坤宮(2黑):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坎宮(1白):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離宮(9紫):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艮宮(8白):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兌宮(7赤):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乾宮(6白):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中宮(5黃):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巽宮(4綠):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陰遁 丙戌일 寅시의 時紫白圖 丙일의
時頭는 戊子이므로 寅시 간지는 庚寅이다. 위의 표에서 경인은 중궁수가 4綠이다. (陰遁 丙戌일 寅시의 時紫白圖) 중궁:4綠, 손궁:5黃, 진궁:6白, 곤궁:7赤, 감궁:8白, 이궁:9紫, 간궁:1白, 태궁:2黑, 건궁:3碧 3)
日辰이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갑진, 을사, 九宮圖의 6白에서 起甲子하여 逆行으로 각 時干支의 中宮數를 구한 후 각 시간의 중궁수를 다시 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順行하면 시자백도가 된다. (時紫白 中宮數) 乾宮(6白): 갑자, 계유, 임오, 신묘, 경자, 기유, 무오 中宮(5黃): 을축, 갑술, 계미, 임진, 신축, 경술, 기미 巽宮(4綠): 병인, 을해, 갑신, 계사, 임인, 신해, 경신 震宮(3碧): 정묘, 병자, 을유, 갑오, 계묘, 임자, 신유 坤宮(2黑):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 坎宮(1白): 기사, 무인, 정해, 병신, 을사, 갑인, 계해 離宮(9紫): 경오, 기묘, 무자, 경유, 병오, 을묘 艮宮(8白): 신미, 경진, 기축, 무술, 정미, 병진 兌宮(7赤): 임신, 신사, 경인, 기해, 무신, 정사 例) 陰遁 甲戌일 卯시의 時紫白圖 甲일의
時頭는 甲子이므로 卯시 간지는 丁卯이다. 위의 표에서 정묘는 중궁수가 3碧이다. (陰遁 甲戌일 卯시의 時紫白圖) 중궁:3碧, 손궁:4綠, 진궁:5黃, 곤궁:6白, 감궁:7赤, 이궁:8白,
간궁:9紫, 태궁:1白, 건궁:2黑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