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 후 |
절기와 중기로 된 24기b보다도 더 구체적으로 기후의 연간변동을 나타낸 것이 72후 (七十二候)이다. 이것은 중국의 춘추시대에 이미 주공이 제정하였다고 전해지는데, 역에 채택되기는 위(魏)시대(6 세기 초)의 정광력(正光曆)부터이다. 옛적부터 장기적인 시간 구분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 |
1년 = |
4계(季) |
|
|
|
|
|
|
|
1계 = |
3월(月) |
|
|
|
|
|
|
|
1월 = |
2기(氣) |
|
|
|
|
|
|
|
1기 = |
3후(候) |
|
|
|
|
|
|
|
1후 = |
5일(日) |
|
|
|
|
|
|
|
1일 = |
4진(辰) |
|
|
|
|
|
|
|
1진 = |
3시(時). |
|
이에 따르면 1년은 72후로 된다. 각 기(氣)를 초후(初候), 중후(中候),
말후(末候)의 3후로 구분한다. 24기 와 72후는 중국의 화북지방(華北地方) 의기후를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한국의 기후에 까지는 그대로 적용이 안된다.뿐만 아니라 72후의 내용도 수시로 약간씩 바뀌기도 하였다 |
|
인월(寅月)의
6후(候)
① 동풍에 언 것이
풀린다(東風解凍).
② 벌레가 겨울잠을
깬다(蟄虫始振).
③ 물고기가 얼음조각 속에
있다(魚陟負氷).
④ 수달이 물에서 고기를
잡는다(獺祭魚).
⑤ 기러기가 북쪽서
온다(雁北鄕).
⑥ 초목 싹이 튼다(草木萌動).
|
진월(辰月)의
6후(候)
① 오동꽃이 핀다(桐始華).
② 들쥐가 변하여 메추리가
된다(田鼠化爲鴽).
③ 무지개가 나타나기
시작한다(虹始見).
④ 버들꽃이 핀다(萍始生).
⑤ 우는 뻐꾹새 날개를
친다(鳴鳩拂其羽).
⑥ 오디새가 뽕나무에
내린다(戴勝降于桑).
|
묘월(卯月)의
6후(候)
① 복숭아꽃이 핀다(桃始華).
② 꾀꼬리가 운다(倉庚鳴).
③ 매가 없어지고 뻐꾹새가
나타난다(鷹化爲鳩).
④ 제비가 온다(玄鳥至).
⑤ 천둥이 마침내 소리를
낸다(雷乃發聲).
⑥ 비로소 번개가 친다(始電).
|
사월(巳月)의
6후(候)
① 청개구리가 운다(螻蟈鳴).
② 지렁이가 나온다((蚯蚓出).
③ 왕과풀이 나온다(王瓜生).
④ 씀바귀 이삭이 팬다(苦菜秀).
⑤ 냉이 잎이 마른다(靡草死).
⑥ 보리가 익는다(麥秋至).
|
|
오월(午月)의
6후(候)
① 말똥구리가 나온다(螳螂生).
② 때까치가 울기
시작한다(鵙始鳴).
③ 개똥지빠귀가
울지를 않는다(反舌無聲).
④ 사슴 뿔이 빠진다(鹿角解).
⑤ 매미가 비로소 운다(蜩始鳴).
⑥ 끼무릇풀이 난다(半夏生).
|
미월(未月)의
6후(候)
① 더운 바람이
불어온다(溫風始至).
② 귀뚜라미가 벽에서
산다(蟋蟀居壁).
③ 매가 비로소 새를
챈다(鷹始摯).
④ 썩은 풀서 반딧불이
나타난다(腐草爲螢).
⑤ 흙이 축축해지고
무덥다(土潤溽暑).
⑥ 큰비가 때때로 온다(大雨時行).
|
신월(申月)의
6후(候)
① 서늘한 바람이 분다(涼風至).
② 흰 이슬이 내린다(白露降).
③ 쓰르라미가 운다(寒蟬鳴).
④ 매가 새로
제사 지낸다(鷹乃祭鳥).
⑤ 천지가 비로소
숙연해진다(天地始肅).
⑥ 벼가 익는다(禾乃登).
|
유월(酉月)의
6후(候)
① 기러기가 온다(鴻雁來).
② 제비가 돌아간다(玄鳥歸).
③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群鳥養羞).
④천둥이 비로소 소리를
거둔다(雷始收聲).
⑤ 겨울잠 자려는 벌레가 굴 문을
좁힌다(蟄虫环戶).
⑥ 물이 비로소
줄어든다(水始涸).
|
|
술월(戌月)의
6후(候)
① 기러기가 손으로
온다(鴻雁來賓).
② 참새가 큰 물로 들어가 조개가
된다(雀入大水爲蛤).
③ 국화가 노랗게 된다(菊有黃華).
④ 승냥이가 짐승을
잡는다(豺乃祭獸).
⑤ 초목 잎이 떨어진다(草木黃落).
⑥ 벌레가 먹지 않는다(蟄虫咸俯).
|
해월(亥月)의
6후(候)
① 물이 얼기 시작한다(水始氷).
② 땅이 언다(地始凍).
③ 꿩이 큰 물에 들어 대합이
된다(雉入大水爲蜃).
④ 무지개는 보이지
않는다(虹藏不見).
⑤ 천기는 오르고 지기는
내려간다(天氣上升地氣下降).
⑥ 폐색하여 겨울을
이룬다(閉塞而成冬).
|
자월(子月)의
6후(候)
① 갈단새가 울지
않는다(鶡鴠不鳴).
② 범이 비로소
교미한다(虎始交).
③ 천마가 싹이 튼다(荔挺出).
④ 지렁이가 땅 속에
든다(蚯蚓結).
⑤ 외뿔사슴의 뿔이
빠진다(穈角解).
⑥ 샘물이 솟는다(水泉動).
|
축월(丑月)의
6후(候)
① 기러기가 북쪽으로
간다(雁北向).
② 까치가 집을 짓는다(鵲始巢).
③ 꿩이 운다(雉雊).
④ 닭이 알을 깐다(鷄乳).
⑤ 매는 사납고
빨라진다(征鳥厲疾).
⑥ 물의 얼음이 더욱
단단해진다(水澤腹堅).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