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인팔상

사학당

오행론

십이궁

오관

금가위

육부삼정

수상

영락백문

택교심법

유년운기도

십이지

유장상법

십삼부

관형찰색

기타

 

p_7

오행론

 

오행형(五行形)

목의 형상은 야윈 듯하고, 금의 형상은 네모지고, 수의 형상은 주로 뚱뚱하며, 토의 형상은 돈후하여 마치 거북의 등과 같습니다. 위는 뾰족하고 아래는 넓은 사람은 화의 형상입니다. 이 다섯가지 모양으로 사람을 자세히 살펴 오행의 형상을 추정해야 합니다.

오행색(五行色)

피부색은 목은 푸르고, 화는 붉은 빛입니다. 토는 누렇고, 수는 검은 것이 오행에 맞는 색입니다. 금만이 흰색을 띠고 있습니다. 다섯 가지로 분류되어 사람의 피부색은 서로 같지 않습니다.

오행상설(五行象說)

사람은 물(水)로부터 정(精)을 받고 화(火)로부터 기(氣)를 받아 사람이 된 것입니다. 정(精)이 합해진 이후 신(神)이 생기고, 신이 생긴 뒤에 형(形)이 온전하게 된 것입니다. 사람의 외형상 나타나는 형태로는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 오행의 형상이 있고 또는 날짐승과 길짐승의 상이 있습니다. 금의 형상은 네모의 각진 형태를 싫어하지 않고, 목의 형상은 여윈 것을 꺼리지 않고, 수의 형상은 살이 찐 것을 꺼리지 않고, 화의 형상은 뾰족하게 생긴 것을 꺼리지 않으며, 토의 형상은 약간 탁하게 생긴 것을 꺼리지 않습니다.

금(金)과 비슷한 형에는 금을 만나야 품성이 강건하고 굳세며, 목(木)과 비슷한 형에는 목을 만나야 재물이 넉넉하고, 수(水)와 비슷한 형에는 수를 만나야 학문이 높고 귀하게 되며, 화(火)와 비슷한 사람은 화를 만나야 기교와 과단성이 있고, 토(土)와 비슷한 사람은 토를 만나야 재물이 풍부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풍후하고 엄숙한 형상의 사람은 부유하거나 귀하게 되고, 몸이 얇고 경박하고 조급하다면 가난하거나 수명이 짧은 것입니다. 가령 자녀의 기(氣)는 온화하고 순해야 하며 형상과 모습이 엄숙하고 단정해야 하는데, 이와 같다면 부유하거나 귀하게 될 수 있습니다.

1. 목형상(木形相)

목의 형상은 늘씬하고 깨끗하게 야위었으며 키가 크고 근육이 발달되었고 머리와 이마가 잘 솟았으며 혹 뼈가 굵고 허리의 살이 두툼합니다. 그러나 등이 얇다면 목의 형태를 잘 갖추지 못한 것입니다. 시에 이르길 "늘씬하고 마른 듯한 뼈마디, 늠름함이 더욱 길다. 눈과 눈썹이 빼어나다면 반드시 늙음에 빛을 보리라."라고 되어 있습니다.

2. 화형상(火形相)

화의 형상은 위가 뾰족하고 아래가 넓어 위는 날카롭고 아래는 풍성하며, 성품이 조급하고 피부는 적색을 띠고 있는 형태입니다. 시에 이르길 "화의 형상을 알고자 한다면 아래는 넓고 위는 뾰족한가를 보라, 행동거지는 정해진 형국이 없고 턱 주위 아래 수염이 적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3. 토형상(土形相)

토의 형상은 비대하고 돈후하며 실한 형이며, 등이 솟고 허리가 두껍고 그 모습이 마치 거북이와 같습니다. 시에 이르길 "단정하고 두툼하여 무게가 있어 모습이 마치 태산과 같다. 심중을 측정하기 어렵고 신의가 두터운 사람이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4. 금형상(金形相)

금의 형상은 맑고 작지만 단단하고 형태가 모나고 반듯합니다. 형체가 이에 미치지 못하면 부족한 것이고 살집이 견실하면 남음이 있다고 합니다. 시에 이르길 "금의 형상은 부위가 반듯하고 삼정도 균등해야 한다. 금의 형상의 격에 맞는 사람은 자연히 이름을 날린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5. 수형상(水形相)水形起而浮, 闊而厚形俯而趍下, 其形眞也。
수형기이부, 활이후형부이추하, 기형진야。

수의 형상은 통통하며 넓고 두툼하고 약간 아래로 구부린 듯하고 걸음걸이가 느린 것이 참모습입니다. 시에 이르길 "눈썹이 짙고 눈이 크고 얼굴이 둥글둥글하다면 이러한 상은 진정한 수의 형상으로 평생 복이 자연히 따른다."라고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