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_1
|
※ 자료 분류 및 선별,보완 작업중입니다.
|
관인팔상법 (觀人八相法)
|
옛날 중국에서는 왕이나 재상을 고를 때 인물의 됨됨이를 보는 방법으로 관인팔상법(觀人八相法)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관인팔상법(觀人八相法)은 사람의 모습을 보고 크게 8가지의 그릇으로 나누어 분류하며, 간단하면서도 사람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관상법입니다.
1. 위(威) - 위엄있고 사나워 보이는 위맹지상(威猛之相) 2. 후(厚) - 후덕하고 온화해 보이는 후중지상(厚中之相) 3. 청(淸) - 깨끗하고 고결해 보이는 청수지상(淸秀之相) 4. 고(古) - 귀신같고 짐승처럼 보이는 고괴지상(古怪之相) 5. 고(孤) - 외롭고 빈한해 보이는 고한지상(孤寒之相) 6. 박(薄) - 약하고 박복해 보이는 박복지상(薄弱之相) 7. 악(惡) - 미련하고 우악스러워 보이는 악완지상(惡頑之相) 8. 속(俗) - 속되고 흐려 보이는 속탁지상(俗濁之相)
1. 위맹지상(威猛之相) 威, 尊嚴可畏, 謂之威, 主權勢也, 위, 존엄가외, 위지위, 주권세야,
如豪鷹搏兔而百鳥自驚, 如怒虎出林而百獸自戰, 여호응박토이백조자경, 여노호출림이백수자전,
蓋神色嚴肅而人所自畏也。 개신색엄숙이인소자외야。
위(威)란 사람된 품위가 위엄(威嚴)이 있고 용맹(勇猛)해 보여 그를 대하면 두려운 마음이 생겨 저절로 머리를 숙이게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비유하자면 날쎈 매가 토끼를 낚아채는 것을 보고 무리 새들이 놀라 달아나고 성난 범이 숲속에 나타나니 온갖 짐승들이 벌벌 떠는 모습과 같습니다. 이러한 상의 주인공은 신색이 엄숙하여 모든 사람을 위압하고 통솔하는 위치에 올라, 한 나라의 대권(大權)을 능히 장악하는 권세를 누리게 됩니다.
2. 후중지상(厚重之相) 厚, 體貌敦重, 謂之厚, 主福祿也, 후, 체모돈중, 위지후, 주복록야,
其量如滄海, 其器如萬斛之舟, 기량여창해, 기기여만곡지주,
引之不來, 而搖之不動也。 인지불래, 이요지불동야。
후(厚)란 사람의 용모가 온화하고 중후(重厚)하며 덕이 있는 인품을 지닌 것으로, 그 도량이 바다처럼 넓고 만근 무게를 실은 거함과도 같아서 당겨도 끌려오지 않고 흔들어도 끄덕하지 않는 사람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의 주인공은 모든 사람으로부터 칭송을 받으며 일생동안 부귀(富貴)를 누리게 되는 만종록(萬種綠)을 타고난 부상(富相)이라고 합니다. 주로 부유층의 사업가에게 이러한 상이 많습니다.
3. 청수지상(淸秀之相) 淸, 淸者, 精神翹秀, 謂之淸, 청, 청자, 정신교수, 위지청,
如桂林一枝, 崑山片玉, 灑然高秀, 而塵不染, 여계림일지, 곤산편옥, 쇄연고수, 이진불염,
或淸而不厚, 則近乎薄也。 혹청이불후, 칙근호박야。
청(淸)이란 사람의 용모가 항시 맑고 깨끗하여 수려(秀麗)한 상으로 정신이 출중(出衆)하고 지혜가 충만한 사람을 일컷는 것입니다. 마치 잡목 숲 속 가운데 수려하게 뻗은 계수나무 가지와 같고 곤륜산 속의 한조각 빛나는 옥과 같이 깨끗하고 고상하고 아름다운 것이, 한점의 티끌도 묻지 않은 형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의 주인공은 문장지사(文章之士)로 가히 일세를 풍미할 길상(吉相)이라고 합니다. 주로 학자들이나 예술가들에게 이러한 상이 많습니다. 다만 청수(淸秀)하기만 하고 후(厚)한 것이 없으면 박약한 상(相)에 가까운 것이니 잘 살펴 보아야 합니다.
4. 고괴지상(古怪之相) 古, 古者, 骨氣岩稜, 謂之古, 고, 고자, 골기암릉, 위지고
古而不淸, 則近乎俗也。 고이불청, 칙근호속야。
고(古)라고 하는 것은 이마, 정수리, 관골, 턱 등의 골격이 보통 사람과 달리 울퉁불퉁하게 솟아 기이하게 생겼으면서도 속되거나 천박하지 않고 준엄한 빛이 감도는 묘한 형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의 주인공은 변설과 괴변이 뛰어나고 평인과는 다르게 행동하여 생활은 고독한 편이며, 자기가 한번 옳다고 믿으면 끝까지 밀고 나가는 굳은 의지를 지닌 사람입니다. 주로 예능인, 종교인, 기인(奇人) 등으로 명성을 떨치는 사람 중에 이러한 상이 많습니다.
5. 고한지상(孤寒之相) 孤, 孤者, 形骨孤寒, 고, 고자, 형골고한,
而項長肩縮, 脚斜體偏, 其坐如搖, 이항장견축, 각사체편, 기좌여요,
其行如攫, 又如水邊獨鶴, 雨中鷺鸞, 生成孤相也。 기행여확, 우여수변독학, 우중로난, 생성고상야。
고(孤)라고 함은 얼굴은 외롭고 쓸쓸해 보이고, 목은 가늘고 길며, 어깨는 힘이 없어 움추려 보이고, 다리는 한쪽으로 기울어 몸이 비뚤어진 듯 한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앉은 모습 또한 흔들리는 듯 불안해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휘청거리는 행동은 마치 물가에 홀로선 학과 같으며, 비를 맞고 서 있는 해오라기 같이 고독해 보이는 상입니다. 이러한 상을 가진 사람을 빈상(貧相)이나 흉상(凶相)이라고 하며, 일생 고독하고 빈곤을 면치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6. 박약지상(薄弱之相) 薄, 薄者, 體貌劣弱, 박, 박자, 체모열약,
形輕氣怯, 色昏而暗, 神露不藏, 형경기겁, 색혼이암, 신로불장,
如一葉之舟而泛重波之上, 여일엽지주이범중파지상,
見之皆知其微薄也, 主貧下賤 縱有食必矣。 견지개지기미박야, 주빈하천 종유식필의。
박(薄)이란, 사람의 체구와 생김새가 오종종하고 허약하며 경박하고 사람된 기품이 겁먹은듯 한 상을 말합니다. 기색이 어두워 보이며 내성적이어서 인품을 드러내어 감추지 못하니 마치 나뭇잎과 같은 작은 배가 거센 파도 위에 위험하게 떠있는 모습과도 같습니다. 이러한 상을 지닌 사람은 누가 보아도 하잘 것 없고 박복해 보이는 형상으로 일찍 단명치 않으면 일생을 고독하고 가난하게 지내는 천상(賤相)이라고 합니다.
7. 악완지상(惡頑之相) 惡, 惡者, 體貌凶頑, 악, 악자, 체모흉완,
如蛇鼠之形, 豺狼之狀, 或性暴神驚, 여사서지형, 시랑지상, 혹성폭신경,
骨傷節破, 皆主其凶暴, 不足爲美也。 골상절파, 개주기흉폭, 불족위미야。
악(惡)이란 사람의 형상이 흉폭하여 뱀이나 쥐를 보는 것과 같이 징그럽고 혐오감이 드는 생김새를 말합니다. 목소리는 승냥이가 우는 소리와 같고 성질은 포악하며 눈은 충혈되어 성난것 같고 신체의 어느 부분이 결함되어 있어 보기에도 불쾌해 보입니다. 이러한 상을 지닌 사람은 성격이 흉폭해서 걸핏 행패를 부리는 자로 악상(惡相)이라고 평가합니다.
8. 속탁지상(俗濁之象) 俗, 俗者, 形貌昏濁, 속, 속자, 형모혼탁,
如塵中之物, 而淺俗總有衣食, 亦多迍也。 여진중지물, 이천속총유의식, 역다둔야。
속(俗)이라 하는 것은 사람의 생긴 형체와 모습이 세련되지 못하고 속되며 혼탁하여서 마치 더러운 분진 속에 있는 것과 같이 천박하고 저속해 보이는 형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을 지닌 사람은 대개 주체성이 결여된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매사에 막힘이 많거나 고용살이로 의식을 해결하게 됩니다. 빈고(貧苦)하고 요절의 상이며 일생 병액으로 고생이 끊이지 않는 매우 불운(不運)한 상이라고 합니다.
|
※ 자료 분류 및 선별,보완 작업중입니다.
관인팔상법(觀人八相法)관상의유형
부귀의 상
이마가 넓고 이맛살이 두툼하며 윤택하다.역마(이마의 양 끄트머리)부위가 밝고 두두룩하다. 눈썹이 수려하고 길다. 미간(눈썹 사이 부위)이 넓고 두툼하다. 복덩궁(눈썹 끄트머리 윗 부위)이 밝고 두두룩하다. 눈의 흑백이 선명하고 기상이 활달하다. 코가 둥근 대나무통을 쪼개서 엎어 놓은 것 같거나 쓸개주머니를 매단 것 같다. 콧망울이 크고 둥글다. 볼이 풍만하고 윤택하다. 법령(코끝 좌우로부터 입가로 뻗친 줄)이 길고 뚜렷하다. 인중(코끝 아래부터 입 위까지 음푹 파인 부위)이 길고 깊다. 식록(인중의 좌우 부위)이 넓고 두둑하다. 입이 크고 긴장미가 있다. 이가 고르고 튼튼하다. 턱이 크고 그득하다. 귀의 윤곽이 선명하다. 귓불이 크고 두툼하다. 허리가 곧고 둥글며 두텁다. 거북등이다.손발이 실하다.
장수의 상
눈썹이 길고 청수하다.눈썹에 긴털이 나있다.눈에 정기가 있다.산근(눈 사이 부위)이 높고 윤택하다.코가 단단하며 보기가 좋다.법령(코끝 좌우로부터 입가로 뻗친 줄)이 길고 뚜렷하다.인중(코끝 아래부터 입 위까지 음푹 파인 부위)이 길고 깊다.이가 고르고 튼튼하다.턱이 크고 그득하다.귀가 크고 두텁다.귓문에 긴털이 나있다.목이 실하다가슴이 넓고 두텁다.허리가 곧고 둥글며 두텁다.거북등이다.성격이 관대하다.음성이 맑고 울림이 있다.과식하지 않는다.음식을 잘 씹어서 삼킨다.새벽잠을 달게 잔다.하체가 튼튼하다.장수집안이다.
빈천의 상
머리는 작고 목은 길다.이마의 주름이 난잡하다.눈썹이 없는 것 같다.명궁(눈썹 사이 부위)이 어둡고 거칠다.눈이 깊게 패여있다.눈을 가늘게 뜨고 본다.콧대가 울퉁불퉁하다.코끝이 뾰족하거나 콧구멍이 크게 보인다.코가 앙상하다.콧방울이 없는 것 같다.딸기코이다.인중(코끝 아래부터 입 위가지 움폭 파인 부위)이 좁다.인중(코끝 아래부터 입 위가지 움폭 파인 부위)이 쭈글쭈글하다.식록(인중의 좌우 부위)이 빈약하다.입이 헤벌어져 있다.입이 불을 부는 듯 뾰족하다.잇몸이 드러난다.마른침을 뱉는다.이가 튀어나와있다.이가 고르지 못하고 약하다.이가 가늘고 듬성듬성하다.싱겁게 웃는다.턱이 뾰족하다.턱이 갈라져 있다.턱이 짧다.귀가 발랑 뒤집혀져 있다.울대뼈가 높다.어깨가 처진다.엉덩이가 작고 볼품이 없다.다리를 까분다.복사뼈가 튀어나와 있다.평발이다.새처럼 팔짝팔짝 뛰면서 걷는다.혼자서 낮은 목소리로 노래를 부른다.매우 쓸쓸해 보인다.
단명의 상
동양인이 노란 머리털이다.머리는 크고 목은 가늘다.얼굴이 좌우 불균형이다.얼굴이 항상 붉거나 창백하다.미간(눈썹 사이 부위)이 좁다.산근(눈 사이 부위)이 오목하고 흠이 있다.퉁방울눈이다.눈에 핏줄이 서있다.눈동자가 희미하다.눈이 흰자위가 많다.코가 매우 짧다.딸기코이다.인중(코끝 아래부터 입 위가지 움폭 파인 부위)이 짧다.법령(코끝 좌우로부터 입가로 뻗친 줄)이 짧다.이가 고르지 못하다.앞니의 사이가 많이 벌어져 있다.턱이 매우 짧다.귀가 작고 얇다.어깨가 좁다.가슴이 좁고 얄팍하다.엉덩이가 매우 작다.하체가 약하다.행동이 성급하다.엉뚱한 짓을 한다.눈을 뜨고 잔다.헛웃음을 웃는다.혼자 중얼거린다.말끝이 흐리다.입을 벌리고 잔다.자면서 악을 쓴다.모습이 고목처럼 쓸쓸하다.
범죄의 상
머리털이 뻣세고 거칠며 터부룩하다.머리털이 곱슬곱슬하다.이마가 좁다.이마가 자빠져 있다.이목구비가 불균형이다.얼굴에 흉터가 많다.얼굴에 개기름이 흐른다.얼굴이 푸르스럼하다.눈썹뼈가 솟아있다.미간(눈썹 사이 부위)이 좁다.눈썹이 곱슬곱슬하다.눈썹이 눈을 누르는 듯하다.눈썹이 끊어져 있다.눈이 솟아있다.눈이 삼각형이다.눈이 눈동자가 작고 사방이 흰자위이다.눈이 붉고 핏줄이 서있다.눈이 뱀처럼 살기가 돈다.눈을 깜박이지 않으면서 곁눈질을 한다.광대뼈가 툭 튀어나왔다.코가 비뚫어졌다.층계코이다.뾰족코이다.매부리코이다.법령(코끝 좌우로부터 입가로 뻗친 줄)의 주름이 너무 깊다.입술이 유난히 두텁다.혀를 뱀처럼 날름거린다.이가 고르지 못하다.이가 뾰족하다.턱이 튀어나왔다.귓불이 없는 것 같다.귀가 발랑 뒤집혀져 있다.가슴이 움푹 꺼져있다.뒤를 자주 돌아본다.곤충이나 동물을 잘 죽인다.
|
|